블로그 이미지
mooncle
Not human doing but human being - P'taah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Notice

Tag

2025. 3. 11. 17:30 책에서 발췌

 

 

<121쪽>

알베르 드 로샤Albert de Rochas라는 최면사는 1890년 파리에서 여러 피험자를 트랜스 상태로 유도하여 획기적인 실험을 했다. 그는 피험자를 유아기로 퇴행시킨 다음, 출생시점을 지나 전생으로 퇴행시켰다. 이 놀라운 실험으로 오늘날 전생에 대한 지식의 가장 중요한 원천이 된 최면 퇴행요법regression이 생겨났다. 그 결과, 알베르 드 로사와 모리 번스타인Morey Bernstein, 토왈드 데스레프슨Thowald Dethlefsen, 에디스 피오레Edith Fiore, 브루스골드버그Bruce Goldberg, 데니스 켈시Denys Kelseyt, 모리스 네더튼Morris Netherton, 딕 서트펜Dick Sutphen, 헬렌 웜바크Helen Wambach 등 소위 '전생요법 선구자들'은 사후생존 연구에서 근사체험자들의 기여를 넘어서는 최고의 성과를 이루었다.

 

이 분야에서 신기원을 이룬 알렉산더 캐논Alexander Cannon의 저서 [내면의 힘The Power Within]이 출간된 뒤 60년간 환생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었지만, 정신과 의사 제럴드 에델스타인Gerald Edelstein은 여전히 캐논 박사와 비슷한 갈등에 시달렸다. 그도 환생에 대한 부정적인 편견이 있었지만, 그의 환자 중에는 최면치료 중에 자연스럽게 전생의 기억에 빠져드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그 치료의 결과는 경이로웠다고 그는 마지못해 인정했다. "이유는 알 수 없지만, 전생 경험을 기억한 환자의 삶은 언제나 즉각 향상되었다."


시카고 주립대의 제임스 파레즈코James Parejko 박사는 1980년 자진해서 최면요법을 시술받겠다고 나선 피험자 10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그 중 대단히 높은 비율인 93명이 최면요법 도중 전생을 기억했다. 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사전 인터뷰에서 환생의 가능성을 노골적으로 부인하던 사람이 가장 완전하게 전생을 기억했다는 점이다. 이 연구에 뒤이어 추가로 진행된 연구는 최면상태에서 전생을 기억한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정신적으로 더 건강하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최면에 잘 걸리는 사람은 의지가 약하고 남의 말을 쉽게 믿는다는 일반적인 믿음과 달리 전생을 기억하는 데 성공한 사람은 그러지 못한 사람보다 자아 정체성이 훨씬 더 강했다. 그들은 또한 스트레스를 더 잘 견디고 죄의식이나 심리적 장애를 덜 겪었다.


 

<123쪽>

전생요법 전문가가 각자 평생토록 수집한 수천 건의 자료와 그 자료가 모여 구축된 방대한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우리는 환생의 메커니즘을 유추해볼 수 있다. 그중에서도 가장 눈에 띄는 것은, 호평을 받은 두 권의 저서 [전생을 다시 살다Reliving Past Lives]와 [삶 이전의 삶Life before Life]을 쓴 헬렌 웜바크 박사의 연구다. 뉴저지의 먼머스 메디컬센터에서 진행한 연구에서 웜바크는 피험자들(개인적 치료 목적이 없는)을 여러 그룹으로 나누어 몇 차례에 걸쳐 최면요법을 진행했다. 자원자를 대상으로 한 이 연구에서 피험자의 90%가 전생을 기억했고, 추가로 5%가 개인지도를 받고 나서 전생을 기억해낼 수 있었다.

그 1,088건의 놀라운 사례를 더욱 효과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웜바크는 피험자에게 설문지를 나눠줬다. 그 결과는 눈이 휘둥그레질 정도로 놀라운 것이었다. 첫째, 그들이 기억한 전생은 하나같이 따분했고, 세계적인 사건과는 아무 관련이 없었다. 전생의 직업, 의복, 음식, 거주지, 실내장식, 가재도구 등에 대한 묘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7%가 전생에 사회경제적으로 상위계층이었고, 23%가 중간계층, 나머지 70%는 하위계층이었다. 전생에 유명 인사였다고 응답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하위 70% 그룹의 경우에는 폭력이나 가난에 시달리거나 요절한 사람이 많았다. 주로 미국 중산층 백인으로 구성된 워크숍 피험자 그룹의 그런 암울한 기억이 보상적 환상이 아님은 분명하다. 성별에 관해서는 응답자의 50.3%가 남성이었고 49.7%는 여성이었으므로 실제 출생비에 아주 가까웠다. 90%라는 높은 비율의 응답자가 전생에서 죽음을 기분좋게 받아들였고, 다시 태어나기를 기대한 응답자는 26%에 불과했다.

 

치료를 목적으로 전생요법 전문가를 찾아가는 경우, 전문가의 임무는 그 문제의 근원이 전생의 어느 부분에 있는지를 찾아내는 데 있다. 따라서 퇴행치료 과정에서 드러나는 환자의 전생은 대부분 매우 충격적인 사건 또는 매우 충격적인 죽음과 관련돼 있다. 근사체험, 사후대화와 마찬가지로 이 경우에도 그 후속 효과가 대단히 큰 것을 보면 퇴행치료 과정에서 무슨 일인가가 일어나는 것이 틀림없다. 또렷한 전생기억은 일반적으로 개인의 세계관을 극적으로 변화시키고, 심리적 장애나 파괴적 태도를 신속하게 제거해준다. 나는 환자로서 전생퇴행 치료를 받아보기도 했고, 전문가로서 전생퇴행치료를 시술해보기도 했다. 그런 경험을 통해 나는 전생요법이 현생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지금까지 알려진 치료법 중 가장 빠르고 효과있다는 주장에 동의한다.

 

 

<126쪽>

 

전생요법 분야의 선구자이자 나의 은사인 모리스 네더튼 박사는 리타 맥컬럼이라는 인물로 살던 전생의 기억으로 거슬러 올라갔던 한 환자의 사례를 소개했다. 1903년생인 리타는 펜실베이니아 주의 한 농촌마을에서 양부모와 함께 살았는데, 1916년 양부모가 자동차사고로 사망했다. 1920년대 초 그녀는 맥컬럼이라는 이름의 한 남자와 결혼하고 뉴욕으로 이주했고, 이들 부부는 맨해튼의 의류산업 중심지인 7번가에서 의류 생산공장을 운영했다. 삶은 고단했고 늘 돈이 궁했다. 1928년 남편이 사망하고, 다음해 아들이 소아마비로 사망한 데다가 증권시장이 무너졌다. 세계 대공황을 겪으면서 다른 많은 사람처럼 파산한 리타는 극심한 우울증에 빠졌다. 날씨가 화창했던 1933년 6월 11일 그녀는 공장의 천장 선풍기에 목을 매어 자살했다.

 

네더튼이 돌보던 그 환자의 이런 기억에는 추적할 수 있는 여러가지 사실이 포함돼 있었으므로 두 사람은 뉴욕 시의 문서보관소에서 리타 맥컬럼이라는 여성의 사망진단서 사본을 받았다. 공증받은 사망진단서의 사망유형 항목에는 그녀가 의류산업 중심지인 웨스트설티스의 어느 주소지에서 스스로 목을 매어 자살했다고 기록돼 있었다. 사망일은 1933년 6월 11일이었다.

네더튼이 소개한 또 하나의 사례는 그가 브라질에서 진행한 워크숍에서 발견됐다. 광장공포증에 시달리던 한 브라질 여성이 피험자가 되겠다고 자원하고 나섰다. 그녀는 나치 강제수용소에서 죽어가던 전생의 기억으로 빠져들었다. 그녀의 팔에 죄수번호의 낙인이 찍히던 상황을 다시 체험하면서 그녀는 비명을 질렀다. 그 때 팔이 빨갛게 부풀어 오르더니 이내 숫자모양을 갖추었다. 연구팀은 그 숫자가 사라지기 전에 서둘러 사진을 찍었다.

 

그 브라질 여성은 전생에서 부르던 자신의 이름, 가족의 이름, 감금되었던 강제수용소의 이름 등 여러 세부사항을 이야기했다. 그녀는 자신이 여러 달 혹독한 날씨에 노천에 방치된 바람에 사망했다고 했다. 연구팀은 관련 사실을 확인하기 위해 그녀의 죄수번호를 이스라엘 홀로코스트센터에 보냈고, 얼마 뒤 홀로코스트센터의 문서보관 담당자에게서 보고서를 받았다. 보고서에 적힌 그녀의 이름, 생년월일, 부모 이름, 출생지, 사망일, 강제수용소 이름 등 모든 내용이 브라질 여성의 기억과 정확하게 일치했다. 전생요법 전문가의 파일에는 이런 사례가 수없이 많다.

 

 

<128쪽>

두 사람 이상이 동일한 전생의 사건을 각자의 관점에서 체험한 사례는 단일 전생기억보다 훨씬 더 설득력 있다. 수천 명의 환자에게 퇴행요법을 시술했던 최면요법 전문가 브루스 골드버그Bruce Goldberg는 서로 만난 적도 없고 상대방의 존재도 알지 못하지만, 전생에 함께 살았던 기억을 각자 되살린 두 환자의 주목할 만한 사례를 소개했다. 첫 번째 환자인 아놀드라는 세일즈맨은 골드버그를 찾아와서 늘 다른 사람에게 부당하게 이용당하고 지배받는 느낌이 든다고 호소했다.

 

몇 번의 시도 끝에 전생으로 퇴행하는 데 성공한 아놀드는 1132년 남부 독일의 바바리아에서 테이어라는 이름의 젊은이로 살던 시절을 이야기하기 시작했다. 그는 구스타프라는 금세공인의 가게 안 식탁 밑에서 식사하는 중이라고 했다. 구스타프는 자신의 도제인 테이어를 시도 때도 없이 구타했고, 성폭행까지 했다. 게다가 가게를 비울 때면 늘 그를 쇠사슬로 식탁에 묶어두었으므로 그는 식탁 밑에서 식사할 수밖에 없었다. 구스타프는 또한 손님들, 특히 그 동네의 부유한 집안 처녀인 클로틸드 앞에서 그를 모욕하곤 했다. 참다못한 테이어는 구스타프에게 격렬하게 대들었고 구스타프는 작업장에 있던 공구로 테이어의 배를 찔렀다. 테이어는 즉사했다.

아놀드가 다녀간 지 8개월 뒤에 변호사 브라이언이 골드버그를 찾아왔다. 그는 다른 사람들을 조종하고 지배하고 싶은 걷잡을 수 없는 충동 때문에 고민하는 중이라고 했다. 게다가 불면증과 식이장애에 시달리고 있다고 했다. 퇴행치료에 들어간 브라이언은 12세기 바바리아에서 살았던 전생에 관해 이야기하기 시작했다. 그는 자신이 구스타프라는 금세공 장인이라고 밝히고 나서 자신의 도제는 테일러라는 청년인데 몹시 무능하다고 말했다. 이어서 그는 자신이 그 도제를 구타하고 성추행하기를 얼마나 즐겼는지를 털어놓았고, 테일러가 클로틸드라는 소녀에게 한눈을 파느라고 일을 제대로 못 한다고 투덜거렸다. 그 밖에도 다른 여러가지 사실이 아놀드의 설명과 완벽하게 맞아떨어졌다. 그 변호사, 즉 구스타프는 골드버그에게 어느 날 테이어가 테이블에 쇠사슬로 묶일 때 거세게 저항하는 바람에 싸움이 벌어졌고, 그 과정에서 공구로 도제의 배를 찔러 죽였다고 했다.

 

골드버그는 그의 고백을 듣자 온몸에 소름이 돋았지만, 최면치료 전문가로서 환자의 비밀을 지켜주지 않을 수 없었다. 따라서 그의 두 환자는 의식이 있는 상태에서 상대방의 존재를 전혀 알지 못했다. 하지만 두 사람이 비슷한 시기에 똑같은 전문가에게 도움을 구하러 온 것을 보면 서로 무의식적으로 의사소통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네더튼은 10년 동안 18명의 환자가 최면치료 중에 같은 사형집행 장면으로 퇴행하는 현상을 목격했다고 전한다. 잉글랜드 남서부 서머셋 주에 있는 온천도시 바스에서 존경받는 정신과 전문의로 일한 적이 있는 아서 거드햄Arthur Guirdham 박사는 피험자 여덟 명과 공동생활을 하면서 카타리Cathari파 신도들의 환생을 자세히 묘사한 여러 권의 저서를 집필했다. 환생을 믿는 카타리파는 12~13세기 유럽에서 번창했다가 카톨릭 알비파 십자군Albigensian Crusades에 의해 근절된 종파다. 최면치료 과정에서 피험자 여덟 명 중 일곱 명이 13세기 프랑스로 퇴행했는데, 거드햄은 그들 각자의 기억을 프랑스의 종교재판 기록과 대조함으로써 그들의 신분을 추적했다. 그 중 여러 명이 카타리파에 대한 세부적인 정보를 제공했는데, 처음에는 그 정보가 부정확한 것 같았다. 하지만 거드햄이 세간에 잘 알려지지 않은 자료들을 찾아 계속 조사한 결과, 그들이 제공한 정보가 정확하다는 사실과 그들이 환생한 카타리파 신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여러 사람이 전생의 같은 기간에 같은 도시에 살았음을 증언한 사례를 살펴보자. 이 사례는 전생최면요법 전문가 마지 리더Marge Rieder 박사가 17년에 걸쳐 정보를 수집하고 문서로 정리한 자료에 근거한 것이다. 리더 박사는 자신의 환자 중 50명 이상이 남북전쟁 기간에 버지니아 주의 작은 도시 밀버러Millboro에서 살았던 기억이 있음을 발견했다.

 

그들 중 현생에 버지니아 주에 가 본 적이 있는 사람들은 단 세 명뿐이었고 '밀버러'라는 이름을 들어본 사람조차 없었지만, 그들은 모두 그 도시의 이름을 '밀버러'라고 발음했는데, 이는 오늘날 말버러Marlboro 주민이 기억하는 것과 정확히 똑같았다. 그들이 묘사한 전생의 삶과 당시 밀버러 주민의 삶에 대한 기록은 일치했다. 그들은 특별히 노예와 탈주병들의 대피용 지하철도로 사용됐던, 독특한 색으로 칠해진 땅속 터널과 지형에 관해 이야기했다. 역사상의 기록이나 지도에는 그런 지하철도가 전혀 나타나지 않았지만, 리더 박사의 환자들이 기억하는 장소를 찾아내어 파헤치자 북부로 가는 생명선으로 쓰이던 지하철도가 나타났다.

 

 

 

posted by moon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