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mooncle
Not human doing but human being - P'taah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Notice

Tag

2018. 3. 23. 00:24 영화

 

 

이 영화를 볼 수 있어서 영광이고, 이 영화가 나에게까지 도달한 행운에 감사한다.


영화는 안데르센의 [눈의 여왕] 첫문장으로 시작된다.
"잘 들어보세요. 이 이야기를 다 읽고 나면, 훨씬 더 많은 것을 알게 될 겁니다......"
이 영화를 만든 이들에게 말해주고 싶다.
"이 영화를 다 보고 나서, 훨씬 더 많은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시력을 되찾은 후 처음으로 하는 면도. 

아무래도 눈을 뜨고는 잘 할 자신이 없다. 눈을 가린다. 더 잘 할 수 있다. 잘 되어간다. 마리가 면도를 도와주던 기억이 떠오른다. 그 때의 각별한 느낌이 떠오른다. 그 느낌이 현재를 채색한다. 창백했던 화면이 따뜻한 색깔로 물든다. 지나간 기억은 현재에 영향을 미친다.  
 

갈대밭 속에서 햇빛을 바라보는 루벤. 
어떻게 보일까. 보이는 대상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은 바라보는 이의 지난 경험과 기억이다. 루벤은 오랫동안 앞을 보지 못하고 살아왔고 시력을 되찾자마자 가장 소중한 두사람을 잃었다. 무엇을 보고 있을까. 흔한 사람들이 흔하게 보는 '빛'과는 다른 무엇을 보고 있겠지.

 

루벤이 기차에서 내리는 장면.
혼자서는 집 밖으로 나설 수도 없었던 이가, 이제 1년이 넘는 혼자만의 여행을 마쳤다.
늘 남의 도움을 받으며 살았던 이가, 이제 다른 사람을 돕고 있다.
오랫동안 세상과 단절되었던 이가, 능숙하게 세상과 교류하고 있다.
안경을 쓰고 떠나서, 안경을 벗고 돌아왔다.

 

보고 또 보고 또 봤던 도서관 씬. 

자신을 세상에 보여주지 못하는 여자와, 세상을 볼 수 없었던 남자. 책으로 살고 책으로 만난 두 사람. 그들의 삶처럼 고즈넉한 도서관에서 책으로 둘러쌓여 다시 만난다. 한 장면, 한 장면이 주옥같은 이 7분여의 클라이막스 어느 부분에선가 나는 울컥 눈물이 솟았다. 나는 당연히 마리에게 이입되어 가슴이 아팠지만, 루벤의 절절한 그리움 역시 내 것처럼 느껴져서 잠시 감당이 안되었던 것 같다. 이보다 더 섬세하고 완벽할 수 있을까. 이런 영화를 만들어줘서 얼마나 고마운지...

 

뒤늦게 마리의 편지를 읽은 루벤의 한 마디. 마리는 루벤이 자신의 외모를 보는(아는) 것을 원치 않았고, 눈을 뜬 루벤과 함께하는 자신을 세상이 보는 것을 원치 않았을 것이다. 루벤은 점차 마리가 '주관적으로도' 아름답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고, 세상은 '루벤이 아깝다, 어울리지 않는다'고 할 테니까.

 

루벤은 기억 속에 각인된 상상의 마리를 현실의 마리로 교체한다. 쉽지 않았을 것이다. 마지막 장면의 루벤은 뭔가 깨달은 것 같고 편안해 보인다. 언제나 겨울이던 그들의 배경이 드디어 봄으로, 거의 흑백에 가깝던 화면이 천연색으로 바뀌어 있다. 루벤은 '빨간색은 입술'이라던 그의 말 만큼이나 붉은 입술로 미소짓는다. 아름답다. 누군들 괴로운 경험을 하고싶겠나마는 그것을 통과함으로써 뭔가를 배우고 나면 경험은 값진 것이 된다. '고난은 불행이 아니다. 극복하지 못하는 것이 불행이다'라는 말처럼.

 

나는 루벤이 다시 시력을 잃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그랬다면 굳이 눈을 가릴 필요도 없었겠지). 시력은 그렇게 쉽게(고드름 따위에) 사라지지 않는다. 그렇게 해서라도 마리와의 좋았던 시간들을 재현하고 싶었던 철없는! 청년의 충동이었다고 믿고 싶다.^^ 두 사람이 함께 있는 해피엔딩을 보고 싶었지만... 마리의 말처럼 삶은 '동화'가 아니다. 각자의 진도에 따라 자기만의 방향으로 나아갈 뿐이다. 루벤은 스스로 책을 읽을 것이고 새로운 친구들을 사귀며 삶의 봄과 여름을 수놓아 가겠지. 

'진실한 사랑은 영원히 눈에 보이지 않는다'는 마리의 편지 글귀는 이 영화가 전하는 메시지같다. 그것은 보이지도 잡히지도 않는다. 어떤 순간에 그저 '느껴질' 뿐이다. 어디에서도 찾을 수 없으나 온세상에 깃들어 있는 것도 같다. 난 에모토 마사루의 작업을 알게 된 후 함박눈을 볼 때마다 '저건 유일하게 눈에 보이는 사랑이야'라고 혼잣말을 하게 되었다. 이 영화는 그 보이지 않는 것을 담고 있다. 그것을 느낄 수 있어서 정말 좋았다.

용감한 왕자가 목숨을 건 모험 끝에 공주를 구한다거나, 소년이 기나긴 여정 끝에 영웅이 되어 돌아오는 이야기는 넘쳐나지만, 그 반대의 이야기는 들어본 기억이 없다. 이 영화를 보다가 문득 [눈의 여왕]이 성별이 바뀐 성장소설이라는 걸 알았다. 소년들을 부추기는 '용맹한 모험'과 '돌아온 영웅'의 이미지는 '구출을 기다리는 예쁘고 불쌍한 소녀'의 이미지를 필요로 한다. 그로 인하여 생겨나는 불필요한 손실과 고통을 생각하면 [눈의 여왕]은 정말로 특별하다. 카이를 위해 멀고 험한 길을 떠나서(가는 곳마다 친구를 만들며) 결국 구출에 성공한 게르다는 '그와 결혼해서 오래오래 잘 살았습니다'가 아니라 그저 이전의 평화로운 삶으로 돌아온다. 일면 허황되고 폭력적인 영웅신화와는 대조적으로 게르다는 카이의 얼어붙은 심장을 녹이고 따뜻한 감수성을 되살려주었다. '세상의 모든 아름다움'을 보여준 것이 아니라, 그것들을 느낄 수 있는 상태로 회복시켰을 뿐이다. 아, 안데르센은 천재다.

 


"영원히 여성성이 우리를 구원할 것이다." - 괴테

 

 

 

 

<2016/05/14에 쓰고 2018/03/23에 옮겨 옴>

posted by mooncle